이상훈 한의약데이터부 박사 연구팀 한의학 약물 표적 장기 예측 이론을 과학적으로 검증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은 이상훈 한의약데이터부 박사 연구팀이 생물정보학적 접근법을 통해 한의학 약물 표적 장기 예측 이론인 귀경이론을 과학적으로 검증했다고 14일 밝혔다.
한의학에는 한약재의 귀경이론이라는 약물의 표적 장기에 대한 전통이론이 존재한다. 임상현장에선 해당 이론에 기반해 한약을 처방한다. 하지만 한약재엔 다양한 성분이 있어 다수 장기에 작용하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했다.
귀경이론은 한약재가 인체의 어느 부위나 장기에 효과가 있는지를 정리한 이론으로 약물이 작용하는 부위를 인체의 12경맥 혹은 오장육부 등으로 표현한다.
인체의 장기 및 부위 예측 결과. [사진=한국한의학연구원]
연구팀은 한약재 '우슬'을 대상으로 생물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해 한약의 표적 기관과 조직 위치를 분석했다. 그 결과를 고전 한의학 이론에서 예측한 우슬의 표적 장기와 비교했다.
먼저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해 우슬의 활성성분과 타겟 유전자를 수집했다. 이후 표적 기관 위치 파악을 위해 '유전자 농축 기반 접근법'과 '유전자 발현 기반 접근법' 두 방법을 통해 우슬의 표적 장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우슬의 표적 장기는 혈액 및 림프 기관 등과 연관돼 있었다. 연구팀은 두 접근법과 분석시스템을 활용해 혈액, 간, 신장에서 우슬의 표적들이 집중돼 있음을 밝히고 뼈, 관절, 하체 부위에도 작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골수, 림프 등에서 우슬 관련 유전자 발현 수준이 높은 것까지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생물정보학을 활용해 예측한 우슬의 표적 기관 위치와 전통적으로 알려진 한의학의 표적장기 이론인 귀경이론 간에 유사점을 발견했다"며 "향후 모호하게 인식돼 온 한약재의 표적 장기 이론을 객관적인 유전자 발현량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하는 접근법을 제공함으로써 한의학 과학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전문학술지 '프론티어 인 파마콜로지(Frontiers in Pharmacology)'에 지난 8월 게재됐다.